대안공간 루프, ‘전현선 개인전- 나란히 걷는 낮과 밤’ 개최

대안공간 루프가 2월 23일(금)부터 3월 25일(일)까지 전현선의 일곱번째 개인전 <나란히 걷는 낮과 밤>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는 전현선의 신작 시리즈인 <나란히 걷는 낮과 밤>을 포함하여 총 45점의 회화 작품이 전시된다.

전시의 제목은 함께 걷지만 만날 수 없는, 마주 볼 수 없는 평행선을 뜻한다. 작가는 공존할 수 없는 것들의 공존 혹은 마주칠 수 없는 것들의 마주침을 캔버스 안에 담는다. 새로운 연작 <나란히 걷는 낮과 밤>에서 캔버스 속 소재들은 규정짓기 어려운 틈을 끊임없이 발생시키며 다층적 내러티브를 생성한다. 추상적 도형과 구체적 사물, 실재와 상상, 은유와 상징을 넘나드는 이 전시를 통해 젊은 회화적 시선을 경험하길 바란다.

<나란히 걷는 낮과 밤>(2018)은 80호 크기의 캔버스 15개를 이어 붙인 대작이다. 과거 전현선이 선택한 사물은 그의 경험(감정)과는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았지만 이번에는 작가가 일상에서 마주하거나 어떤 관계 속에서 중요했던 사물이다. 전현선은 캔버스 안에서 질서를 형성하고 있는 수많은 이미지들과 레이어에 주목하며, 이미지의 반복과 재배치를 통해 자신이 사용하는 낱말의 유의어를 확장시킨다. 화면을 이루는 요소들은 단정하고 정갈한 형상을 입고 있지만 희미한 맥락으로 아슬아슬하게 앞과 뒤, 양 옆을 지지하고 있다. 작가는 화면 속 요소 하나하나가 지닌 의미보다 그것들이 서로를 의지하며 발생하는 낯선 상황을 제시한다. 그리는 대상에 대한 몰입을 배제하기 위해 그리고자 하는 소재가 생기면 수집한 이미지를 통해 재현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작업을 위해 많은 이미지를 찾아내고, 간직하고, 필요할 때마다 꺼내보는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이렇게 모아둔 이미지들 가운데 보여주고 싶은 것들을 골라 한 화면 속에 작은 전시를 만든다. 화면에 여러 가지 요소를 배치하고 서로 무의식적으로 중첩될 수 있도록, 그래서 그것이 결과적으로 어떤 거대한 하나의 풍경을 이루기를 기대한다.

◇전현선 개인전- 나란히 걷는 낮과 밤 Hyunsun Jeon Solo Exhibition-Parallel Paths

전시 기간: 2018년 2월 23일(금)~3월 25일(일) / 3월 1일(목) 휴관
전시 장소: 대안공간 루프
관람 시간: 10:00am~7:00pm / 입장료 없음
참여 작가: 전현선
※ 작가와의 대화: 2018년 3월 10일(토) 오후 4시

◇작가 소개

전현선(b. 1989)은 이화여자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서양화과를 수료하였다. <모든 것과 아무것도, 위켄드, 2017>, <이름 없는 산, 이화익갤러리, 2016> 등 6회의 개인전과 <그린다는 것, 오픈스페이스배, 2017>, <뿔의 자리, 인사미술공간, 2016>, <두산아트랩, 두산갤러리, 2015>, <전환, 옆집갤러리, 2013> 등 주요 단체전에 참여했다. 독일 <AM Studio, AM Planner, Berlin> 레지던시 프로그램의 입주 작가로 활동했으며, 2017년 종근당 예술지상을 수상했다.

◇전시 서문

PLAN

글: 류한승(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전현선의 그림에는 다양한 형상들이 등장한다. 그것이 무엇인지 어느 정도 알 수 있는 형상이지만 그것들이 모인 전체는 무언가를 알 수 없는 모호한 상태이다. 즉 부분은 부분일 뿐 그 부분(형상)들이 모여서 전체를 이루는 것은 아니다. 형상은 형상이고, 전체는 그냥 전체이다. 그의 그림에서 하나의 형상은 다른 형상을 위해 봉사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형상이 홀로 존재하는 것도 아니다. 하나의 형상은 다른 형상과 유동적으로 연결되지만, 곧바로 또 다른 형상과 만날 수 있다. 형상은 멈추지 않는다.

그는 캔버스에 수채로 그림을 그린다. 오일이 자신의 성향과 그다지 맞지 않았다는 작가는 캔버스에서 수채를 사용하는 법을 스스로 알아갔다고 한다. 수채는 오일과 아크릴릭에 비해 드로잉처럼 얇고 가벼운 느낌의 표현이 가능하며, 동시에 이미 칠해진 색 위에 색을 또 올리더라도 밑의 색이 완전히 가려지지 않는다. 위의 색과 아래의 색이 만나면, 평평하지만 입체적인 묘한 색채의 레이어가 생성된다.

<뿔과 빛나는 돌>(2016): 화면 가운데 뿔이 2개 있다. 원뿔은 이야기를 풀어가는 화두이자 실마리이지만 그것이 어떤 특별한 역할을 하거나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작가는 이것을 파악하기 위해 주변에 무언가를 하나씩 배치한다. 예컨대 원뿔이 놓일만한 탁자가 있고, 탁자 양 옆에는 서로에게 무관심한 두 사람이 있으며, 그 뒤로는 그가 서양 종교화에서 봤던 산이 자리한다. 그리고 산과 산 사이에는 빛나는 것이 위치한다. 원뿔 아래 왼쪽에는 미러볼이 있고, 오른쪽에는 빛을 받은 돌이 있다. 이처럼 원뿔에서 시작하여 여러 형상들이 그 주변에 배치되었는데 사실 필연적 인과관계는 없으며 구체적 내러티브도, 주제도, 주인공도 없다. 나아가 형상 사이에는 주종관계도 없으며, 화면에는 무게 중심도 없다. 결국 어떤 것도 앞으로 튀어나오거나 뒤로 들어가지 않기에 모든 형상은 동등(同等)한 형상으로서 모두 평평해지게 된다.

전현선의 그림은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시기는 2014년 말부터 2015년 초까지 그려진 그림이다. 이때의 작품은 주로 개인전 ‘뿔과 대화들’(플레이스 막, 2015.2.6~2.25)과 단체전 ‘두렵지만 황홀한’(하이트컬렉션, 2015.2.27~6.5)에서 공개되었다. 두 번째 시기는 2016년 후반에 제작된 그림으로 개인전 ‘이름 없는 산’(이화익갤러리, 2016.9.7~9.27)에 출품되었다. 세 번째 시기는 2017년 후반부터 최근까지의 작업으로 개인전 ‘모든 것과 아무것도’(위켄드, 2017.8.25~9.24)와 이번 개인전에서 전시되었다.

뿔이 본격적으로 그의 작품에 등장한 것은 첫 번째 시기이다. 더불어 인물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도 이때의 그림이다. 뿔과 인물 옆에는 숲속이나 동굴 같은 풍경이 이어지는데, 이 풍경은 작가가 어렸을 때 보았던 동화책의 이미지에서 온 것이다. 물론 인물과 사물이 배경과 함께 있다고 해서 어떤 명시적인 사건이나 내러티브가 있는 것은 아니다. 어린 작가의 눈에 우선적으로 들어왔던 것은 동화책의 텍스트가 아니라 (시각적인) 그림이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시기의 가장 큰 특징은 화면이 ‘구획’된다는 점이다. 2016년 초 노은주 작가와의 협업을 계기로 화면 구성에 대한 관심이 꽤 높아졌다고 그는 이야기한다. 화면이 분할되다보니 앞 시기보다는 다소 정돈된 분위기를 자아낸다. 한편 인물은 이전보다 출연 빈도가 줄어들지만 뿔은 이 시기에도 여전히 애용된다. 또한 원뿔을 닮은 ‘이름 없는 산’이 등장하며, 빛나는 것이 화면에 종종 나타난다.

세 번째 시기에서는 ‘인물’이 사라진다. 화면은 파노라마처럼 옆으로 길게 펼쳐지고 그 안(숲속)에는 나무, 사물, 도형 등의 이미지가 올오버(all-over)의 형식으로 병치된다. 그리고 이전 작업에 비해 색채가 한층 경쾌하고 밝아진 것도 주목할 만한 점이다. 이는 채도의 차이인데 실은 인물의 유무와 관계가 있다. 보통 우리가 그림을 볼 때 인물을 먼저 인식하듯이 인물이라는 형상은 그 자체만으로도 보는 이의 시선을 잡아끄는 독특한 형상이다. 그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생기는 형상들의 주종관계를 완화시키기 위해 작가는 전체적으로 채도를 낮춰 인물과 사물의 구분을 옅게 하였다. 하지만 인물이 사라진 최근작에서는 일부러 채도를 낮출 필요가 없었다. 도리어 채도의 높고 낮음을 활용함으로써 화면에서 미묘한 강약을 주는 쪽으로 방향을 틀게 된다.

지난 3년 동안 전현선의 작업은 제법 달라졌지만 대체로 얇고 납작한 느낌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런 이유로 새로운 시각 환경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동년배 작가의 그림과 유사해 보이기도 한다. 디지털·인터넷 시대에 맞춰 그가 의식적으로 평평한 그림을 고집하는 것은 아니더라도 그 역시 어렸을 때부터 디지털 환경에 노출되었기 때문에 저절로 평평한 것이 그에게 체화되었을 수도 있다.

그런데 그의 회화는 다른 작가와 좀 다르다. 그의 그림에서 하나의 형상은 다른 형상을 지배하지 않는다. 모두 평등하게 존재한다. 그래서 그의 그림이 평평해진 것이다. 평평해졌다고 해서 그림에 내재하는 에너지마저 사라진 것은 아니다. 아마도 에너지의 분포가 골고루 퍼져있다고 보는 게 좋을 것이다. 즉 그의 그림은 단순한 평면이 아니라 잠재성(virtualité)을 가진 평면이다. 그것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말하는 ‘내재성의 평면(plan d’immanence)’이자 ‘일관성의 구도(plan de consistance)’에 가까운 상태이다.

“각각의 화면(캔버스)들이 하나로 모여서 하나의 풍경(장면)을 만든 것이 이번 작업이에요. 저는 이 작업을 하면서 단어와 문장의 관계를 생각해 보게 되었어요. 제가 다루는 이미지의 조각(요소)이 단어인 것 같아요. 그리고 이것들이 가리키는 것은 비교적 분명해요. 이것은 복숭아, 저것은 물고기 등 지칭하는 대상은 명확해요. 그런데 이것에 살이 붙으면서, 즉 조사가 붙으면서 만들어지는 문장들은, 뭔가 더 구체적인 것이 되어야 할 것 같지만, 오히려 부정확해지고 불명확해지는 상황인 것이에요.”
-작가 코멘트, 2018년 1월

그의 그림에 등장하는 이미지(사물)는 고정된 의미를 거부한다. 여러 사물과 유연한 관계를 맺으면서, 비록 다소 불명확할지라도, 다의적 의미를 띠게 된다. 더불어 그의 캔버스도 마찬가지이다. 처음부터 캔버스를 이어붙이겠다는 의도는 있었지만 그렇다고 전체적인 구도를 미리 상정하지는 않았다고 한다. 그는 각각의 캔버스를 개별적으로 작업한 후, 포토샵에서 캔버스를 이리저리 배치하는 방식으로 캔버스를 하나씩 맞춰나갔다. 형상들은 분절된 캔버스를 넘나든다. 서로 연결되면서 자연스럽게 어떤 영역이 만들어지지만, 또 다른 흐름에 의해 새로운 영역이 만들어진다. 경계는 생겼다가 곧 허물어진다.

제보 한국행정일보는 여러분의 제보로 문제를 해결하고 각종 비리와 공무원의 갑질과 불편부당한 사간 사고 등을 제보해 주세요 (한국행정일보 신문고 이용 하세요)
독자안내 기사의 수정 및 삭제는 정기구독자 에게만 서비스 합니다. 정기구독에 가입한 후에 news@dailypress.co.kr 로 요청해 주세요
국민과 소통하는 행정뉴스 www. dailypress.co.kr
한국행정일보는 정부기관의 정책, 활동, 인물, 성과를 보도하는 언론사입니다.
정부기관의 언론보도를 지원하고, 정부와 국민의 소통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한국행정일보는 온라인으로 뉴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정부기관의 소식과 자치단체
그리고 공기업의 언론보도 등에도 뉴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한국행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독자안내 기사의 수정 및 삭제는 정기구독자 에게만 서비스 합니다

국회일보사 구독자 여러분께 유료화 전환에 대한 안내

창간 이후 10여년 넘게 무료로 컨텐츠를 개방해온 한국행정일보는 모든 컨텐츠를 무료로 개방해 왔습니다만 오늘부터는 경영합리화의 일환으로 모든 컨텐츠는 유료로 전환 됨을 알려 드립니다.

국회일보사는 신속하고 정확한 기사 제공으로 고품질의 독자여러분의 성원에 보답하도록 하겠습니다. 회원에 가입하는 독자에게는 정가에서 20%에서 270%까지 활인하는 특전을 제공하면서 1년 정기구독자는 카드 결재가 가능하며, 2년에서 3년 장기 구독자는 통장입금이나 가상계좌를 통해 결재 하실 수 있습니다.

모든 기사는 기사량의 50%만 노출됨을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기사를 확인하시려면 회원가입 후에 매체별 연도별로 체크해주시고 구독신청하시고 결재가 확인 되시면 즉시 구독하실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바로가기